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글로벌 석학과 함께하는 ‘CeLINE NMR 스쿨·심포지엄’ 성료 세계적 NMR 연구 권위자 12명 초청…소수 정예심화 교육으로 미래 과학자 양성 사진. 참가자 단체 사진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원장 양성광, 이하 KBSI)은 미래 글로벌 핵심이 될 젊은 과학자 양성을 위해 위해 ‘CeLINE NMR 스쿨’(8월 25~28일)과 ‘NMR 심포지엄’(8월 29일)을 오창바이오·환경연구소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KBSI는 비유럽권 최초로 도입한 1.2 GHz NMR*과 Cryo-EM* 등 첨단 바이오 대형연구장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대형연구장비 공동활용과 연구인력 양성을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CeLINE(Center for Large facilities Integrating NMR and EM) 컨소시엄*을 운영하고 있다. * NMR(Nuclear Magnetic Resonance): 강력한 자기장을 이용해 원자핵의 공명 신호를 측정하여 물질의 구조와 dynamics, 상호작용을 원자 수준에서 규명할 수 있는 분석장비다. 1.2 GHz는 자기장의 세기를 나타내며 자기장이 강할수록 더 정밀하고 고해상도 분석이 가능해 단백질과 같은 복잡한 생체분자의 구조와 움직임을 더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 Cryo-EM(Cryo-Electron Microscopy): 단백질, 바이러스 등 생체분자를 극저온 상태에서 얼린 뒤, 전자빔을 이용하여 관찰하는 현미경 분석장비로 고해상도의 거대분자 구조 분석이 가능하다. * CeLINE 컨소시엄 : CeLINE 컨소시엄은 대형연구장비들의 공동활용 활성화뿐만 아니라, 연구자들의 연구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제공을 통하여 현재와 미래를 아우르는 핵심 연구인력 양성을 목표하고 있다. 이번 ‘CeLINE NMR 스쿨’은 한국에서는 처음 시도되는 이론 강의와 시험을 포함한 소수 정예 심화 교육 과정으로, Bio-molecular NMR 분야 세계적 석학 12명을 초청해 진행했다. 미국 Gordon Workshop, 유럽 EMBO Course와 같은 수준의 교육을 통해 차세대 NMR 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한다. 초청 연사에는 ▲막스플랑크 연구소(Max Planck Institute) 크리스티안 그리징거(Christian Griesinger) 교수 ▲스위스 취리히 연방공과대학교(ETH) 피터 권터트(Peter Guntert) 교수 ▲콜롬비아대학교 아트파머(Art Palmer) 교수 ▲독일 프랑크푸르트 괴테대학교 하랄트 슈발베(Harald Schwalbe) 교수 등 해외 석학 11명을 포함해 총 12명이 참여했다. 마지막 날인 8월 29일에는 ‘NMR 연구의 미래(Future of NMR)’을 주제로 심포지엄이 열렸다. 신약개발과 생체분자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NMR 기술의 미래를 전망하고, 연구자들이 함께 토론하는 개방형 학술 교류의 장이 되었다. 홍관수 오창바이오·환경연구소장은 “이번 CeLINE NMR 스쿨과 심포지엄은 세계적 석학들과 함께 최신 NMR 연구 방법을 공유하고, 미래를 이끌 젊은 과학자를 양성하는 뜻깊은 자리”라며,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젊은 연구자들이 한 단계 더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 라고 밝혔다.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