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EM 이미징중개연구그룹
세포와 조직의 2차원, 3차원 미세구조 분석 및 Cryo 환경에서 단백질 및 단백질 복합체 구조 분석
- 전자토모그래피, 대면적분석 기법을 활용한 초고해상도 최대면적 분석
- Cryo 기반 면역 전자현미경 분석, EM-FLM 연계형 멀티모달 이미징
- 단백질 복합체 3차원 구조 분석
- Micro-ED 기법 활용 단백질 구조 분석 및 Cryo-ET 3차원 구조 분석
연구인프라
Bio-HVEM system과 Cryo-EM system을 기반으로 Electron Tomography, LLM, 단백질 3차원 구조 분석법, Micro-ED, Cryo-ET 기법을 활용하여 국내외 우수 산학연병과 공동연구 수행
- 세포소기관, 세포 및 조직의 2차원 & 3차원 미세구조 분석 및 모델링
- 면역 전자현미경(Immuno-EM) 기법 및 이종장비간 연계 기반의 멀티모달 이미징을 통한 세포/조직 내 특정 단백질의 추적 및 분포 분석
- Cryo 초박절편기(Cryo-UT)와 고압동결장치(HPF)를 활용한 극저온 시료제작
- Cryo-EM, X-ray 결정학을 통한 약물 타겟 단백질, 감염성 병원체(바이러스), 수십~수백 나노 크기의 기능성 유기화합물 3차원 구조 규명
Bio-EM 장비 연계 기반의 멀티모달 분석 체계도

대표 연구성과
구분 | 내용 |
---|---|
논문 |
Bio-HVEM의 3D 전자토모그래피 활용 삿갓조개 나노치아 미세배열구조 규명
Science Advances 誌, IF=14.95, JCR 9.5%, ’22.12. |
논문 |
Cryo-EM 활용 고분해능 세포 간극 연접 채널/G 단백질 결합 이온 채널 subunit 단위 구조 다양성 규명
Nature Communication 誌, IF=16.6, JCR 8.22%, ’23.02. |
논문 |
초저온전자현미경 활용 인간 GPR179 단백질의 3차원 구조 규명
Nature Communication 誌, IF=14.7, JCR 5.97%, ’24.04. |
삿갓조개 나노치아 미세구조 규명

인간 GPR179의 Cryo-EM 3차원 구조

담당부서
Bio-EM이미징중개연구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