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사이트맵 열기 사이트맵 닫기

에너지소재연구그룹

에너지소재연구그룹
  • KBSI 에너지소재연구그룹은 전지소재 성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통합분석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이차전지의 주요 구성요소인 양극재, 음극재 및 전해질에 대한 정밀 분석과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내용

전지소재 성능 한계돌파를 위한 통합분석시스템 관련 연계성
신소재 설계/반응메카니즘 규명 > 전지분야 신소재 개발 > 전지분야 소재 성능 향상 실험 > in-situ/operando 분석 muti-modal 분석 > 데이터해석/계산과학 활용 피드백 > 신소재 설계/반응메카니즘 규명
양극, 음극, 전해질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양극, 음극, 전해질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연구인프라

전지소재의 구성 성분에 대한 규명, 정량, 구조 및 운동성 분석을 통해 전기화학반응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있으며, 전지 내 계면 현상과 수소 에너지 전환을 위한 촉매 형성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를 진행

AI를 이용한 나노촉매의 STEM-EDS 3차원 토모그래피
AI를 이용한 나노촉매의 STEM-EDS 3차원 토모그래피
flow-NMR 기법을 사용한 in situ 직접메탄올연료전지 반응 추적
flow-NMR 기법을 사용한 in situ 직접메탄올연료전지 반응 추적

대표 연구성과

WSe₂/MoS₂ 포토트랜지스터의 PANS (Periodically Arrayed Nanopore Structure)적용 전후의 광검출 특성 향상을 비교한 데이터
Amp-MS 산란에 의해 방출된 광자(outcoupled photons) 및 시간 분해 전기발광(TREL) 그래프
탄소흑연/프러시안블루 나노복합체(CB/PB)를 활용한 종이 기반 오리가미 전기화학 센서를 제작하여 혈액 내 부틸콜린에스터레이스(BChE)를 효소 방식으로 검출
다양한 생쥐 혈청 샘플에서 Ctn(크레아티닌)의 실시간 검출

(SUNRISE III) 태양 관측 망원경용 초정밀 광학 부품 FM 개발

X-선용 반사경 시제품 개발 및 국내 최초 실증 (ETRI, PAL 공동)

생체모사 미세생리시스템

AI기반 비임상 평가기술

처리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