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영역
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상단 타이틀 영역입니다.
국내외 고자기장기술 개발 최신 동향 한눈에
이름 : 관리자 | 작성일 : 2016.12.15 10:17 | 조회수 : 16906
컨텐츠 영역입니다.


국내외 고자기장기술 개발 최신 동향 한눈에

- 기초지원(), 12152회 고자기장기술 국제포럼개최 -

국립고자기장연구소 라발레스티어 교수 등 고자기장 분야 전문가 모여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원장 이광식, 이하 기초지원연)은 고자기장기술 개발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고자기장기술 발전방향을 논하는 ‘제2회 고자기장기술 국제포럼

   (2nd International Forum on High Magnetic Field Technology, 이하 포럼)’을 12월 15일 

   대덕본원 강당에서 개최한다.


□ NMR(핵자기공명장치)·MRI(자기공명영상장치) 및 물성(物性)연구용 초전도(超傳導) 

  고자기장 발생기술 분야의 기술동향 및 개발현황을 알아본다. 이번 포럼에는 초전도 자석 및 

  선재에 대한 관심을 위해 미국, 일본, 독일의 연구자들을 포함 국내외 전문가 2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 고자기장 기술을 선도하고 있는 美국립고자기장연구소의 응용초전도센터장 데이빗 라발레스

  티어(Dr. David Larbalestier) 교수가 “초고자기장 초전도자석 최첨단 기술과 도전”이라는 

  주제로 총회강연에 나서고, 

-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는 세계 최고자기장기록 보유 NMR 자석 개발 내용을, Bruker 

  BioSpin社에서는 상용 초고자기장 NMR 자석의 소형화 기술 및 자기장세기 증강기술 개발에 

  대해 발표한다.

- 국내 고온초전도선재 양산기업인 ㈜서남에서는 2세대 고온초전도 선재기술을 소개하고, 

  KAT에서도 고자기장 MRI 자석 및 요구되는 고성능 초전도선재 개발에 대해 소개한다. 


□ 국내 고자기장 연구장비 개발 연구에 집중하고 있는 기초지원(연)에서는 국내 양산 2세대 

  고온초전도선재를 적용한 전도냉각 고자기장 NMR 자석개발 프로젝트에 대해 소개할 

  예정이다. 


□ 한국초전도산업협회 황순철 회장은 “작년 포럼에서는 고자기장기술의 필요성에 방점을 

  두었다면 올해는 고자기장 발생기술 개발에 주목하게 된다”며, “이번 포럼을 통해 고자기장

  기술 관련 수요자와 공급자 모두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기초지원(연)이광식 원장은 "앞으로 포럼을 통해 국내외 상용 및 공공 고자기장기술 간 

  국제적인 교류의 장으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며, ”기초지원(연)은 고자기장 분석과학 

  플랫폼 기관으로서 지속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고자기장 연구장비를 구축해 나감으로써 관련 

  연구장비 산업 창출에도 기여할 것이다”이라고 밝혔다. 


☏ 문의처 : 기초지원(연) 연구장비개발사업단 이상갑 선임연구원(042-865-3633)

share
첨부파일
 

목록 : 번호, 파일, 제목, 이름, 작성일, 조회수
번호 파일 제목 이름 작성일 조회수
181 첨부파일 관리자 2017.04.20 14,191
180 첨부파일 관리자 2017.04.07 13,530
179 첨부파일 관리자 2017.03.22 14,516
178 첨부파일 관리자 2017.02.06 18,440
177 첨부파일 관리자 2017.01.03 16,228
176 첨부파일 관리자 2017.01.03 17,578
175 첨부파일 관리자 2016.12.29 17,138
174 첨부파일 관리자 2016.12.23 15,863
첨부파일 관리자 2016.12.15 16,907
172 첨부파일 관리자 2016.12.13 15,752
171 첨부파일 관리자 2016.12.13 15,148
170 첨부파일 관리자 2016.12.06 15,222
169 첨부파일 관리자 2016.11.15 16,742
168 첨부파일 관리자 2016.11.14 16,185
167 첨부파일 관리자 2016.11.07 17,840
166 첨부파일 관리자 2016.10.20 19,405
165 첨부파일 관리자 2016.10.19 16,603
164 첨부파일 관리자 2016.10.11 18,471
163 첨부파일 관리자 2016.09.29 18,509
162 첨부파일 관리자 2016.08.31 16,7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