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영역
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언스 스토리

Home 홍보센터뉴스사이언스 스토리 기획보도

기획보도 < 사이언스 스토리 < 뉴스 < 홍보센터

상단 타이틀 영역입니다.
[KBSI 우수이용자 시리즈④] '작은 우주' 인간의 뇌, 보다 정교한 조감도를 완성하다
이름 : 관리자 | 작성일 : 2017.02.27 17:02 | 조회수 : 5621
컨텐츠 영역입니다.

“이 화면은 모야모야병을 앓고 있는 환자의 뇌를 기존 3T 휴먼 MRI(사진 A)와 7T 휴먼 MRI(사진 B)로 찍은 사진입니다. 이미지는 더 또렷해지고 해상도도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죠? 이것은 병의 조기 진단과 정확한 진단이 가능해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고화질(HD) 방송이 시작됐을 때 흥분했던 사람들은 초고화질(UHD) 공중파 방송 소식을 듣고 열광했다. 이보다 어떻게 더 선명해질 수 있지?라는 의구심과 꿈의 화질이란 UHD를 양산한 과학의 발전을 찬양했다. 

 

과학의 진화는 삶의 진화로 이어진다. 의학의 진화 역시 과학의 진화 없인 불가능하다. 충북대병원 박영석 교수(신경외과 전문의)가 제시한 두 화면은 마치 HD와 UHD 화질을 대조하는 것처럼 영상의 차이가 극명하다.

 

박영석 교수는 2015년부터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오창센터 생체영상연구팀의 7T 휴먼 MRI를 이용해 뇌질환 질병의 조기발견, 진단법 및 치료 기술 등을 연구 중이다. 짧은 기간 동안에도 모야모야병 및 뇌종양 연구 등 2편의 논문을 발표하는 성과를 거뒀다.

 

7T 휴먼 MRI는 전 세계에 61대, 국내에는 단 두 곳에만 설치된 최첨단 자기공명영상 시스템이다.  MRI는 자기장의 세기가 곧 해상도를 결정하는데, 7T MRI의 지구자기장의 14만 배로 마이크로 단위의 뇌혈관 병변까지 촬영이 가능하다.

 

“7T MRI는 뇌혈관 영상을 기존 영상보다 우수하게 촬영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신경 호르몬 변화와 뇌종양의 악성도 역시 잘 측정할 수 있는 장비입니다. 뇌혈관 같은 경우 민감도가 높은 장비를 사용해야 질환의 조기 발견이 가능한데 7T MRI 덕분에 새로운 진단과 치료 기술을 기대할 수 있게 됐습니다.”

 

[+더보기]

share
 

기획보도 목록 : 번호, 파일, 제목, 이름, 작성일, 조회수
번호 파일 제목 이름 작성일 조회수
108 첨부파일 관리자 2017.03.21 5,309
107 첨부파일 관리자 2017.03.20 5,793
106 첨부파일 관리자 2017.03.15 5,053
105 첨부파일 관리자 2017.02.27 6,683
첨부파일 관리자 2017.02.27 5,622
103 첨부파일 관리자 2017.02.27 6,244
102 첨부파일 관리자 2017.02.15 7,450
101 첨부파일 관리자 2017.01.31 6,055
100 첨부파일 관리자 2017.01.31 6,580
99 첨부파일 관리자 2017.01.04 5,909
98 첨부파일 관리자 2016.12.30 6,697
97 첨부파일 관리자 2016.12.30 6,781
96 첨부파일 관리자 2016.12.30 6,020
95 첨부파일 관리자 2016.12.26 5,795
94 첨부파일 관리자 2016.12.23 5,706
93 첨부파일 관리자 2016.12.16 7,061
92 첨부파일 관리자 2016.12.14 5,528
91 첨부파일 관리자 2016.11.29 7,109
90 첨부파일 관리자 2016.11.29 7,662
89 첨부파일 관리자 2016.11.28 6,189